Media

동영상의 구성

SALEE 2023. 4. 3. 15:03
728x90

컨테이너

  • 동영상 규격을 가진 파일
    • 규격 - 재생과 편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
  • 컨테이너는 하나 이상의 스트림을 가지고 있음
    • 스트림 - 비디오, 오디오와 같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일련의 데이터
  • 컨테이너는 오직 스트림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 만을 가지고 있음
    • 동영상 컨테이너가 스트림을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정보들
      1. 동영상 촬영 당시, 또는 임의로 기록된 메타 정보(촬영 날짜, 위치 등)
      2. 컨테이너가 가지고 있는 스트림의 개수
      3. 동영상 전체 길이
      4. DVD에서 제공하는 메뉴와 자막 정보
      5.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재생(스트리밍) 시 빠른 탐색이 필요한 스트림 위치 정보
  • 멀티플렉싱 ( = 먹싱)
    • 컨테이너에 스트림을 담는 과정, 다양한 종류의 코덱으로 인코딩된 스트림 정보 담을 수 있음
  • 디멀티플렉싱 ( = 디먹싱)
    • 컨테이너에 있는 스트림을 컨테이너에서 분리하는 과정
  • 컨테이너가 가지고 있는 비디오, 오디오 스트림들은 코덱을 통해 가공된 데이터

 

코덱

  • 코덱 - 코더(Coder)와 디코더(Decoder)의 앞글자를 딴 합성어
    • 용량이 큰 영상을 다른 곳으로 이동하거나 보관하기 쉽게 압축하고 후에 재생할 때 다시 복원
  • 인코딩 (Encoding)
    • 아날로그 신호나 스트림 데이터로 이루어진 비디오와 오디오를 압축된 부호로 변환하는 과정
  • 디코딩 (Decoding)
    • 압축된 데이터를 본래의 아날로그 신호나 스트림 데이터로 복원하는 과정



  • 코덱 압축 방식
    • 손실 압축 - 원본이 손상, 데이터를 더 많이 압축할 수 있음
    • 무손실 압축 - 원본 손실 없이 그대로 보전됨



픽셀 (=화소)

  • 화면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작은 요소
  • 디지털 화상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
  • 픽셀 종횡비
    • 하나의 픽셀에 대한 가로 세로 비율
  • PPI (Pixels Per Inch) - 디스플레이 1인치 당 픽셀 수

 

해상도

  • 디스플레이의 세밀함 정도, 픽셀의 개수로 측정, 픽셀의 개수가 많을수록 해상도가 높고 화면이 선명
  • 해상도 형식 : 픽셀 단위의 가로 X 세로
  • Ex) 480p, 720p, 1080p - 숫자는 세로 픽셀 수를 의미
  • 화면 종횡비 ( = Display Aspect Ratio, 그림 종횡비, 프레임 종횡비)
    • 해상도를 표현하는 가로 세로 비율

 

프레임 레이트와 화면 주사방식

  • 프레임 레이트 - 초 당 보여줄 프레임 갯수, 단위 : fps (1초당 프레임 수)
  • 프레임 - 동영상을 이루는 여러 이미지 중 하나의 정지된 이미지
  • 영화는 보통 24fps, TV는 보통 30fps, 스포츠는 보통 60fps
  • 60fps (59.94fps)
    • 미국 또는 한국과 같은 NTSC 포맷을 기본으로 하는 나라에서 사용하는 720P의 기본 프레임 레이트
  • 30fps (29.97fps)
    • 미국 또는 한국과 같은 NTSC 1080p 또는 1080i 방식으로 촬영할 때 사용하는 프레임 레이트
  • 비월 주사 방식 (Interlaced Scanning)
    • 한 번에 모든 화면을 보내지 않고, 홀수 줄과 짝수 줄을 나누어 보내는 방식
    • 화면에 보내야 할 전송량을 줄이는 방식
    • 영상이 급격한 움직임을 보일 때 잔상이 남는 단점이 있음 ( = 인터페이스 노이즈)
    • 요즘은 사용하지 않음 (아날로그 시대에 브라운관 TV에 맞춰나온 기술)
  • 순차 주사 방식 (Progressive Scanning)
    • 영상을 한 번에 하나의 프레임으로 전송하는 방식
      • (주사선을 1초에 60번씩 한꺼번에 순차적으로)
    • 전송대역폭도 크고 데이터량도 많아짐, 화질도 좋아짐

 

크로마 서브샘플링

  • 사람의 눈에 둔감한 색차 정보를 줄이고 민감한 명도를 기반으로 영상을 압축하는 방식
  • 색 정보를 샘플링이란 과정을 통해 실제로 영상을 볼때는 원본과의 격차를 줄여주는 것
    • 루마 컴포넌트 - 밝기 정보
    • 색차 컴포넌트 (크로마) - 색상에서 명도를 제외한 정보
  • 프레임 색 표현 방법
    • RGB - 적, 녹, 청 / 하나의 픽셀 당 24bit 사용햐서 많은 용량 필요
    • YUV - 휘도(Y), 색차(U,V)
      • Ex) YUV444, YUV422, YUV420

 

비디오 압축

  • 비디오를 압축할 때는 하나의 프레임과 주변 프레임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압축
    • 비디오 프레임은 GOP 그룹 단위로 압축
      • GOP : I 프레임 각각 사이 /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그룹
      • 여러 장의 연속 나열된 이미지 프레임들 ->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 그룹(GOP)로 인코딩
    • I - 프레임 : 기준이 되는 프레임 ( = 키 프레임), 하나의 온전한 이미지를 저장
    • P - 프레임, B - 프레임 : 상관관계에 있는 프레임 ( = 인터 프레임, 레퍼런스 프레임)
      • P - 프레임 : I - 프레임 이후 다음 I - 프레임까지의 변경된 정보를 담음
      • B - 프레임 : P 또는 I - 프레임과 다음 P - 프레임의 변경된 정보 만을 담음

 

오디오 샘플링

  • 아날로그 신호로 된 소리를 디지털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과정
    • 샘플링 :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 구간을 단위로 표본화하여 저장
    • 샘플링 주기 (샘플링 레이트, T) : 오디오를 표본화하기 위해 나눈 구간, 단위 : Hz, kHz
      • 샘플링 주기가 낮을 수록, 표본화된 데이터가 적기 때문에 압축률 높음, 잡음이 심해짐
    • 비트 깊이 (Bit-depth) : 하나의 샘플이 가진 강도를 표현하는 데 사용하는 비트 수

 

비트레이트

  • 특정한 시간 단위마다 처리할 수 있는 비트의 수
    • 인코딩 시 비트레이트를 어떻게 할당하느냐에 따라 최종 결과물 품질이 크게 달라짐
  • 비트레이트 할당 방식
    • 가변 비트레이트 (VBR, Variable Bitrate)
      • 영상 복잡도에 따라 할당하는 비트레이트 양 결정
      • 전체적으로 품질이 고르게 됨
    • 고정 비트레이트 (CBR, Constant Bitrate)
      • 영상 복잡도와 관계 없이 항상 같은 비트레이트 할당
      • 품질은 VBR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짐
      • 파일의 전체 크기를 미리 가늠할 수 있음
    • 평균 비트레이트 (ABR, Average Bitrate)
      • 영상 복잡도에 따라서 비트레이트를 할당하지만 평균으로 지정된 비트레이트 유지
      • 고정 비트레이트에 비해 높은 품질 보여줌
    • 품질 기반 가변 비트레이트 (QVBR)
      • 비디오 소스의 모든 매크로블록, 프레임 및 장면을 분석하고 비트를 자동으로 할당하여 정보 차이를 다룸
      • 복잡한 비디오 세그먼트에는 높은 비트레이트 사용
      • 덜 복잡한 비디오 세그먼트에는 낮은 비트레이트 사용

 

 

 

※ 참고 자료 : FFmpeg 라이브러리 : 코덱과 영상 변환을 중심으로

728x90

'Med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컨테이너와 코덱  (0) 2023.04.05
미디어 기초  (0) 2023.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