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기초

IT 인프라 - 2

SALEE 2022. 5. 30. 16:51
728x90

스토리지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비휘발성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  최근에 데이터 레이크, 데이터 가상화 기술 등 다양한 데이터 스토리지 기술이 조명받는중

 

고가용성과 고성능을 이뤄주는 RAID

 

RAID 0

스트라이핑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트 세그먼트 들을 여러 디스크 디바이스로 분산 기록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저장

 

RAID 1

같은 데이터 세그먼트를 복수의 디스크에 실시간으로 복제시키는 미러링 기술을 이용하여, 각 멤버 디스크에 같은 데이터를 중복으로 저장

 

RAID 5

패리티 라는 데이터 복구를 위한 기술을 이용하여 원본 데이터에 추가 데이터를 만들고 이를 스트라이핑 방식으로 저장, RAID 0 보다는 가용성 보장하고 RAID 1 보다는 가용성을 늘려서 사용, 패리티 연산 오류로 인해 RAID가 깨질 가능성 있음

 

RAID 6

데이터 별로 패리티를 2개씩 구성하여, 2개의 디스크가 망가지더라도 나머지 데이터 및 패리티를 조합하여 데이터 조각을 복구시킬 수 있음, RAID 5 보다 하드드라이브 개수가 1개 더 필요

 

RAID 10

RAID 1이 가지고 있는 고가용성과 RAID 0이 가진 성능을 결합한 기술, 매우 뛰어난 데이터 보호 기능 제공, RAID 10과 RAID 0+1은 다른 방식
  • Hot Spare
    • 기존 구성된 RAID에 디스크 하나를 더 부여해서 예기치 못한 장애 예방
  • Rebuilding
    • 장애 발생 시 RAID를 다시 온전히 구성하게 해줌
  • JBOD
    • 단순히 물리적인 디스크를 여러개 모아서 하나의 큰 하드 디스크처럼 보이게 하는 기술
    • 분산 저장 X, 확장성 좋음

 

전통적인 스토리지 DAS, NAS, SAN

 

DAS

전용 케이블을 이용하여 서버에 1:1 다이렉트로 연결되는 방식, 접근 속도 빠름

 

NAS

서버와 스토리지가 LAN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DAS보다 확장성에서 유리, 여러 서버들이 같은 파일 공유, 스냅샷 제공

 

SAN

서버와 스토리지를 Fibre channel 스위치로 연결한 고속 네트워크 기반 스토리지 타입, 별도의 SAN Switch로 연결되며 DAS와 NAS의 단점을 보완한 형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양한 방식

 

파일 스토리지

중첩된 계층 구조를 갖는 스토리지 포맷, 데이터는 특정 디렉토리 안에 단일 정보로 저장

 

블록 스토리지

하나의 데이터를 고유의 식별자를 가진 블록 형식으로 쪼개서 저장, 파일 스토리지 대비 가상머신이나 Application이 데이터에 효율적으로 접근 가능

우리는 데이터를 쉽게 검색하고, 데이터를 관리하고, 데이터를 또 다른 데이터와 연계할 수 있음

 

오브젝트 스토리지

클라우드에서 자주 사용하는 저장 방식, 비정형 데이터 저장에 가장 적합

 

SDS(Software-Defined-Storage)

표준 x86 서버 어디에서든 동작, 장소 제약이 없음, 소트리지 용량 확장성 증가

 

HCI(Hyper-Converged Infrastructure)

  •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킹 하이퍼바이저를 비롯한 인프라 스택을 통합하는 기술
  • SDS 기술을 적용하여 별도의 외장 스토리지 없이도 운영 가능
  • 서버에 내장된 디스크를 이용하여 Storage Pool 구성

 

데이터 중복제거(De-Duplication)

  •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 상황에서 많이 사용
  • 스토리지 저장 공간을 아낄 수 있으며 백업 시간 단축에도 활용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스토리지 상품

 

서버를 위한 Block Storage

서버에 할당하여 사용되는 스토리지, HDD/ SSD 타입 중 선택 가능, 내부적으로 이중화되어 안전한 환경 제공
  • 유연성 - 서버 한 대에 최대 16개의 블록 스토리지 부착 가능, 탈/부착 가능
  • I/O에 따른 스토리지 종류 선택 - 필요한 상황에 맞게 종류 선택
  • 스냅샷 - 스토리지 현재 상태를 그대로 스냅샷을 통해 저장할 수 있음

 

오브젝트 스토리지와 아카이브 스토리지

 

백업

서비스의 데이터를 가장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

 

리전

인프라를 생성할 국가, NCP에서는 6개의 리전 존재
  • 각각의 글로벌 리전에는 전용선 구축

 

존(가용 영역)

리전 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데이터센터 및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는 지점
  • 서로 다른 존 내 리소스 배포 통해 존 자체 이슈로부터 고가용 서비스 설계 가능

 

클라우드에서 인프라 구축 시 고려사항 6가지

 

가용성

시스템이 중단 없이 계속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구성이 되었는지?
  • 가용성 : 시스템이 중단 없이 계속 서비스 가능함을 의미성능시스템상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 혹은 감소에 발맞춰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지?
  • 성능 고려 단계 : 적절한 용량 산정 -> 사전 테스트 -> 지속적인 모니터링신뢰성서비스 장애로 인한 데이터 손상에 대비하였고, 보안 측면에서 안정적으로 구축되어있는지?
  • 인프라 운영 관리담당자는 주기적으로 백업할 수 있도록 백업수행해야함
  • NCP에서 제공하는 보안 서비스

 

확장성

서비스 사용자 요청에 맞춰서 인프라가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는지?
  • 오토스케일링 기능을 통해, 미리 등록한 설정에 따라 서버 수를 자동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안정적인 서비스 유지 가능
    • Alarm 방식 : 운영 중인 서버를 모니터링 하다가 조건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서버를 증가 혹은 반납
    • On-demand 방식 : 미리 예측해서 서버를 증가하거나 반납, 필요할 때만 함으로써 서버를 효율적으로 관리

 

관리성

클라우드 인프라에 대한 운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였는지?

 

비용

사용한 만큼 과금되는 구조 및 유연한 인프라 확장이 가능한 클라우드 특성을 활용하여 구성하였는지?
  • 각 과금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방안을 찾아야 한다

 

※ 본 게시글은 edwith 클라우드 인프라의 근간 - Compute 강의를 필기한 것입니다.

 

(강의 사이트)
https://www.edwith.org/ncloudcompute

728x90

'클라우드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용어 정리  (0) 2023.03.30
IT 인프라 - 1  (0) 2022.05.30
클라우드 보안  (0) 2022.05.28
클라우드 네트워크  (0) 2022.05.28